로고

KO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 선정작 10편 발표
2024-03-22 00:00:00Hits 1,524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 선정작 10편 발표


- 한국경쟁 극영화 8편, 다큐멘터리 2편…총 10편 선정
- 여성 서사 영화 강세, 전주프로젝트 워크인프로그레스 지원 작품 3편 진출 등
-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3인 “10편의 선정작, 그 어느 해보다 알차”


전주국제영화제(집행위원장 민성욱·정준호)가 한국경쟁 부문 선정작 10편을 발표했다.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약 3개월간 한국경쟁 부문에 대한 공개모집을 진행했다. 올해 한국경쟁 부문은 역대 최다 작품인 134편이 접수됐으며, 그중 10편이 최종 선정됐다.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 부문은 감독의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장편 연출작을 소개하는 섹션으로, 제22회 이재은, 임지선 감독의 <성적표의 김민영>(2021), 제23회 정지혜 감독의 <정순>(2021), 제24회 신동민 감독의 <당신으로부터>(2023) 등 그간 한국경쟁 부문 대상을 수상한 작품들이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며, 국내 영화계를 이끌 신인 감독들의 등용문으로 주목받았다.

한국경쟁 심사에는 전주국제영화제의 문석, 문성경, 전진수 프로그래머 3인이 참여했다. 심사위원들은 올해 선정된 10편의 작품에 대해 “한국경쟁 부문에 선정된 10편의 영화는 그 어느 해보다 알차고 튼실하다”라는 극찬으로 심사평의 포문을 열었다. 이어, 올해 한국경쟁 출품 경향에 대해 “여성에 관한 서사는 올해도 강세를 보였다. 감독의 성별이나 장르와 무관하게 한국경쟁작 대다수는 영화 중심에 여성이 존재했고 그들의 내면을 관통하는 경우도 많았다”라고 설명했다.

심사위원들은 지난해 워크인프로그레스 지원을 받은 세 작품 <담요를 입은 사람>, <미망>, <양양>이 올해 한국경쟁 부문에 선정됨에 따라, “올해 한국경쟁 부문에서는 전주국제영화제의 산업 프로그램인 전주프로젝트가 놀라운 성과를 통해 존재 의의를 보여줬다”라며, “워크인프로그레스 프로그램에 산업계가 관심을 더욱 기울여야 할 이유가 생긴 셈이다”라고 덧붙였다.

<나선의 연대기> <담요를 입은 사람>

김이소 감독의 <나선의 연대기>는 화상통화를 통해 심리상담을 받는 주인공 웅비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건물 철거로 인해 연습실을 잃을 위기의 극단원들이 철거를 지연시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독특한 시선으로 담았다. 박정미 감독의 <담요를 입은 사람>은 어린 시절 꿈이었던 여군 장교를 3년 만에 전역하고 ‘자신이 진정 원하는 삶’을 찾아 무전여행을 떠나며 마주하는 것들에 대해 담은 셀프 다큐멘터리다.

<미망> <양양>

김태양 감독의 <미망>은 서울을 배경으로 여러 해에 걸친 남녀의 우연한 만남과 이별을 이야기하는 영화이다. 양주연 감독의 <양양>은 젊은 시절 스스로 생을 마감한 고모의 발자취와 고모를 기억하는 사람들을 찾아 나서는 여정 속에서, 가족 안에서 여성의 위치에 대해 질문하는 다큐멘터리다.

<어텀 노트> <언니 유정>

제20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흩어진 밤>(2019)으로 한국경쟁 부문 대상을 공동 수상한 바 있는 김솔 감독이 두 번째 장편으로 전주를 찾는다. 김솔 감독의 <어텀 노트>는 피아노 강사로 활동하는 주인공 수인이 지도교수의 권유로 연주회에 참가하게 되고, 연주회를 준비하며 떠오르는 과거와 요동치는 심경의 변화에 주목하는 작품이다.

정해일 감독의 <언니 유정>은 평소 서먹한 사이의 자매인 유정과 기정의 이야기로, 동생 기정이 영아 유기 치사 사건에 연루되며 벌어지는 두 인물의 사투와 가족애를 다뤘다.

<엄마의 왕국> <은빛살구>

이상학 감독의 <엄마의 왕국>은 자기계발서 작가인 주인공 지욱이 모친의 갑작스러운 치매 소식을 듣게 되며, 소중한 가족을 지키기 위한 두 모자의 고군분투를 담았다. 장만민 감독의 <은빛살구>는 뱀파이어 웹툰 작가 정서가 이혼한 아빠에게서 엄마의 빚을 받으러 나서며 가족의 본질에 대해 이야기한다.

<통잠> <힘을 낼 시간>

김솔해, 이도진 감독의 <통잠>은 임신을 원함에도 수년간 난임이 지속된 부부인 지연과 도진의 갈등을 켜켜이 사실감 있게 담아내 눈길을 끈다.

제21회 전주국제영화제 코리안시네마 부문에서 <십개월의 미래>(2021)를 선보인 바 있는 남궁선 감독은 올해 신작으로 관객과 만난다. 남궁선 감독의 <힘을 낼 시간>은 국가인권위원회의 15번째 인권영화 프로젝트로, 흥행에 실패한 아이돌 삼인방의 뒤늦은 수학여행의 이야기를 통해 아이돌 산업의 문제점과 현재 청년세대의 모습을 명확하게 담아내고 있다.

한편, 한국장편 선정작 10편을 공개하며 기대를 모으는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는 오는 5월 1일(수)부터 5월 10일(금)까지 열흘간 전주 영화의거리를 비롯한 전주시 일대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한국경쟁 심사평>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경쟁에는 지난해보다 20여 편 많은 134편이 참여했다. 20%가 넘는 출품작 수의 증가는 어쩌면 한국영화 산업, 특히 독립영화계가 코로나 팬데믹의 악몽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났다는 사실을 의미하는지 모른다. 하지만 이는 동시에 코로나 팬데믹으로 본격화된 한국영화 산업의 위기가 지속되거나 악화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결과로 볼 수도 있다. 과거와 같은 여건이었다면 이들 중 상당수는 곧바로 극장 개봉이나 OTT 직행을 추진했을 것이다. 하지만 한국 독립영화의 극장 개봉이 갈수록 어려워지는 데다 극장 개봉을 위한 여러 지원이 사라졌으며, OTT 상황 또한 독립영화에 불리하게 돌아가는 탓에 영화제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높아졌을 것이라는 가설이 가능해진다. 예년에 비해 전주국제영화제의 색채와 어울리지 않는 영화들이 많이 보였다는 사실은 후자의 가설에 힘을 좀 더 실어준다.

허수가 많아졌다는 것뿐이지 한국경쟁 부문에 선정된 10편의 영화는 그 어느 해보다 알차고 튼실하다. 여성에 관한 서사는 올해도 강세를 보였다. 감독의 성별이나 장르와 무관하게 한국경쟁작 대다수는 영화 중심에 여성이 존재했고 그들의 내면을 관통하는 경우도 많았다. <언니 유정>, <통잠>, <어텀 노트>, <양양>, <담요를 입은 사람>이 그 대표적인 영화였고 <나선의 연대기> 같은 실험적인 영화도 여성에 관한 담론을 품고 있었다.

가족 이야기를 담은 영화도 많았는데 앞서 언급한 여성 담론 영화와 중첩되기도 했다. <엄마의 왕국>, <은빛살구>가 가족을 정면으로 내세우고 있었지만 <언니 유정>, <통잠>, <양양>에서도 여성의 문제는 가족이라는 틀 안에서 진행되고 있다.

올해 한국경쟁 부문에서는 전주국제영화제의 산업 프로그램인 전주프로젝트가 놀라운 성과를 통해 존재 의의를 보여줬다. 지난해 전주프로젝트의 워크인프로그레스 작품인 <미망>, <담요를 입은 사람>, <양양>이 모두 한국경쟁에 진출한 것이다. 게다가 여기서 발탁된 <미망>은 지난해 토론토국제영화제 디스커버리 부문에서 상영되기도 했다. 올해 워크인프로그레스 프로그램에 산업계가 관심을 더욱 기울여야 할 이유가 생긴 셈이다.

전주프로젝트가 아니더라도 전주와 인연을 이어나가는 감독의 영화도 선보인다. 제20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흩어진 밤>(2019)으로 한국경쟁 대상을 공동 수상한 김솔 감독은 <어텀 노트>를, 제21회 전주국제영화제 코리안시네마 부문에서 <십개월의 미래>(2021)를 보여줬던 남궁선 감독은 <힘을 낼 시간>으로 전주에 돌아왔다. 특히 <힘을 낼 시간>은 퇴역 아이돌을 소재로 다룬 인권영화이기도 하다.

다채롭고 뛰어난 영화들을 상영하게 된 심정은 벅차오르지만, 내년 그리고 그 이후를 생각하면 불안감이 차오르는 것이 사실이다. 독립영화계뿐 아니라 영화산업과 정부 모두 나서서 이 비상상황을 타개했으면 한다.

이처럼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영화를 만들어 제25회 전주국제영화제에 보내주신 모든 창작자 여러분에게 감사 인사를 보낸다.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 문석, 문성경, 전진수


<한국경쟁 부문 선정작>

작품명 가나다순

전주사무처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2층 (54999)

T. (063)288-5433 F. (063)288-5411

서울사무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5길 16 동극빌딩 4층 (04031)

T. (02)2285-0562 F. (02)2285-0560

전주영화제작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객사3길 22 전주영화제작소 (54999)

T. (063)231-3377